- DeFi 란?
- Decentralized Finance
- 시중 은행의 금융 서비스(예금, 대출, 투자, 보험, 결제, ...) 를 -> "탈중앙화 된 P2P 시스템"으로 대체 하는 것!
- 중앙화 Vs 탈중앙화
- 화폐란? 국가 정부가 찍어내는 종이 쪼가리다... 그리고 중앙화된 금융 카르텔을 기반으로 이 종이의 가치가 보장된다.
- 그리하여,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면~ 이 전통체계를 운영하는 주체들에 다양한 간섭 및 규제를 받게된다.
- 이를 극복하기 위해, "탈중앙화된 화폐(암호화폐) 및 시스템(스마트-콘트랙트)" 으로 DeFi가 탄생 하였다.
- (과연? 정말? 탈중앙화가 가능??? 예상치 못한 시장의 큰 변동성 대응력... DApps의 보안성...)
- DeFi 탄생
- 2018년 8월 기업가 및 이더리움 개발자들의 텔레그램 채팅방에서 개념이 만들어짐.
- "오픈소스 금융 Application을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축하는 방안"
- 2017년 출시되었던 MakerDAO (Ether담보->DAI대출) 를 기반으로 운영이 시작 됨.
- DeFi 원칙
- 상호운용성 및 오픈소싱 : ...
- 익명 접근 포용성 : ...
- 재정 투명성 : ... 금융서비스가 불투명한 silo로 구축되면 안되고, 시장의 정보가 공개 되어야 함 ....
- DeFi 성격
- 탈중앙 검열 저항성
- 법정화폐를 사용하지 않음 -> 국가 기관들의 권력으로부터 해방.
- 금융 거래를 중계함 있어서, 개입 및 제한을 받지 않음 -> 빠르고 & 편리하고 & 저비용 일 수 도 있음...
- (DApp의 수수료에 따라... 아닐수도;;;)
- 투명성
- 블록체인 본질적으로, 신뢰 할 수 있는 불변의 원장에 모든 거래를 공개기록 하는것!
- 국가 주도의 화폐 및 금융 시스템의 불신(?)을 해소 할 수 있다.
- 접근성
- 개인신원정보 등등~ 기존 금융의 복잡한 절차가 불필요 함.
- 100% 자동화된 시스템으로,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사용 가능 함.
- 결합성
- DApp(Decentralized App) 간의 자유로운 응용개발이 이루어 짐으로써,
- 다양한 서비스들이 Composibility 하게 상호연동 될 수 있음.
- 스테이블-코인 운용성
- 기초적인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큰 리스크가 문제.
-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테이블-코인을 활용하여 문제해결.
- (법정화폐 고금리 시대의 종말... <> 최적화된 운용으로 고수익 쌉가능?)
- 예 :
- 예 :
- 예금인 -> (은행계좌$담보) -> Stable-Coin 주체 -> 블록체인 장부기록
- 예금인 -> (DAI 거래소 구매) -> MakerDAO 프로토콜 전송 -> Smart-Contract 예치
- 대출인 -> (Eth담보) -> MakerDAO 프로토콜 전송 -> 원장기록 -> DAI 대출발행 -> Eth계정 지갑
- 투자인 -> 투자&수익 -> DAI 원금+이자+수수료 상환 -> Eth 회수
- (DApp 프로그래밍상~ Smart-Contract에 묶인 담보자산은 임의출금 절대불가)
- (만약, 해당 Cypto-Currency가 폭락하면... Smart-Contract에 지정한 담보유지비율로 자동청산)
- (자동청산 절차 = Stable-Coint 및 패널티 수수료 마진 -> 공개경매 -> 상환 -> 반환 ... )
- (Smart-Contract상, Cypto-Currency가격 결정주체 = 오라클 ... 신뢰도 받는 분권적 운영)
- 장투인 -> (Eth Long Position 담보) -> DAI 대출 -> 레버리지 재투자 ;;;
- ( 참고 : https://medium.com/@bezalel/defi-블록체인-금융-이해하기-33df2f1e928 )
- 탈중앙 검열 저항성
- DeFi 문제점
- 저조한 성능 : ...
- 사용자 실수 위험도 : ...
- 부정적인 인식 : ...
- 어수선한 생태계 : ...
- ( 출처 : https://academy.binance.com/ko/articles/the-complete-beginners-guide-to-decentralized-finance-defi )
- DeFi 코인
- 대출 DApps : Compound, Aave, ...
- 지구 반대편의 사람들 간에도 P2P으로 '암호화폐' 를 서로 대출 할 수 있음.
- 즉,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Decentalized Apps 를 기반으로 Smart-Contract 를 쓰는것!
- 이렇게 탈중앙화된 시스템으로, Immortal한 계약을 체결하여~ '암호화폐' 이자놀이가 가능.
- 탈중앙화 거래소(DEXes=Decentralized Exchanges) : Uniswap, dYdX, ...
- 중앙금융계좌 없이, 개인지갑 연결만으로도~ 디지털 자산을 P2P거래 할 수 있는 거래소.
- 거래소 유동성을 공급하기위해, Market Maker 에게 의존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음.
- (사용자들이 인센티브(수수료 등등)를 받기위해 거래소에 유동성을 제공 한다고???)
- 거래소의 시장가 결정은 Automated Market Makers 의해 수학적 공식화된 계약으로 이루어짐.
- 최소화된 유지보수 비용의 수수료, 안정성 이 장점. (다양한 파생상품이 힘들다는게 단점)
- ... ERC-20 규격의 토큰을 교환 ...
- 지갑 DApps : MetaMask, MyEtherWallet, ...
- 개인의 '암호화페' 및 '토큰' 을 보관하는 저장공간이 바로 지갑 이다.
- 이런 지갑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.
- 보험 DApps : Nexus Mutual, Etherisc, ...
- 블록체인 해킹 및 버그 관련... 보험. (실생활 보험으로도 확대중)
- 결제 DApps : Flexa, ...
- 오픈소스로 된 안전한 결제 솔루션 제공.
- 도박?복권? DApps : Augur, PoolTogether, ...
- 토토 ㅎㅎ
- 1달러당 1장의 복권 -> 예치금 -> 이자 -> 1등 몰빵 -> 나머지는 1달러 돌려줌 ㅋㅋ (꽝없는 복권;;;)
- 스테이블 코인 : DAI, ...
- 달러$ 같은 안전 자산에 연동되있는 가상화폐.
- DeFi 에서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... 안정적인 가격 변동성의 코인이 필수적.
- (그런데... "스테이블 코인 재단"이 진짜 현찰$ 있는지? 는 모름 ㅎㅎ 위조지폐 찍고있는 상황일지도 ㅋㅋ)
- (출처 : https://blog.bybit.com/ko-kr/learn-kr/crypto101-kr/defi )
- Maker(MKR) : http://wiki.hash.kr/index.php/메이커토큰
- Chainlink(LINK) : http://wiki.hash.kr/index.php/체인링크
- Polkadot(DOT) : http://wiki.hash.kr/index.php/폴카닷
- 대출 DApps : Compound, Aave, ...
- 어어어
- ...
- 메타 : 채굴-ICO-디파이-...
- ...
www.coindeskkorea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3617
-끝-
'Blockcha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EE 와 Phala Network (By Ki맨) (0) | 2024.11.30 |
---|---|
코인과 토큰 그리고 ICO, Escrow, ... (0) | 2022.04.30 |
NFT (1) | 2021.03.31 |
ripple (0) | 2020.11.30 |
klaytn (작성예정) (0) | 2019.09.15 |